비디오 영상

비디오 영상

1) 비디오 영상의 영역
– 상업적인 분야와 예술적인 분야로 발전
– 상업적인 분야는 ‘Music video’로 1982년 미국의 cable 방송사에서 24시간 music video를 내보내게 됨으로써 ‘Video 영상 이미지’는 영화나 TV처럼 Frame(영상화면)속에서 작용하면서도 영화나 TV처럼 Frame의 문법이나 기법으로부터 벗어난다.

가) Music Video의 특질
처음에는 홍보용으로 출발하였으므로 광고적인 성격이 짙었다. 그러나 Dance Music이 창출되면서 급속도로 팽창하게되고, 이제는 독립적인 ‘영상 Music Video’로 자리 잡았다.
‘영상 Music Video’가 광고나 대중문화 사이에서 혼성된 새로운 영상예술로 인정받는다는 뜻이다.

나) Music Video의 특징
Music Video는 그 내부에 새로운 문화 형태인 Postmodernism(각 분야의 새로운 사조로 시대 구분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Postmodernism은 다국적 기업들의 산업활동을 뿌리로 발전되었기 때문에 ‘Music Video’ 또한 ’특별한 깊이 없이 경박한 문화‘라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 Music Video와 Postmodernism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는 ‘미학적 대중주의’에 입각한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문다.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는 깊이 없음의 문화이다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는 자기반영적 성격을 갖는다. 이것은 절대성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므로 혼란을 야기한다.
–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는 수용자를 탈중심화시켜 주체 구성을 실패하게 만든다.

‘Music Video’는 상당 부분을 hollywood의 영화에 의존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혼란스러울 만큼 다양한 영상 image의 사용으로 창작적인 성격을 드러내 보인다.

라) Music Video의 Text적 특성
– Music video의 영상 Image는 Comic한 것, 지루한 것과 흥분을 유발하는 것, 현세적인 것과 내세적인 것, 평범한 것과 비범한 것들 간의 모든 경계를 허물어버린다.
각각의 개별적인 Image의 내용이 창출하는 의미들은 전체 Video Club 에서는 전혀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만다.
– Music Video는 수용자로 하여금 성찰을 유발시키는 Text의 의미가 아니다.
이러한 특성은 수용자의 의식적 해석과 주의집중 등의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시킨다.
– Music Video에서는 영상과 영상이 분리되어 영상과 음악의 분리도 일어난다. music Video는 기표가 부재하는 Image, 실체가 없는 주체, Reality가 배제된 연기, 통일된 응집이 없는 narrative를 동원한다.
마) Music Video의 영상적 기법
– 빠른 속도의 Cutting을 사용 한다
– Jump Cut을 자주 사용 한다
– Tilt, Pan, Zoom과 같이 Camera 자체가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cutting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Montage를 자주 사용하여 변화를 많이 준다
– Matted 기법을 사용한 영상을 자주 사용 한다
– Computer Graphic 처리를 자주 볼 수 있다
– 사물의 움직임의 속도의 변형을 더한 영상을 많이 사용 한다
– 특수 Lens를 많이 사용 한다
– 채도 혹은 색도를 변형시킨 영상을 자주 사용하여 영상 Image의 환상을 보여 준다
– Extreme Close up shot을 많이 사용 한다
– 극성화된 영상이 자주 나타난다. 음화(Negative) 영상 같은 영상으로 일종의 환각 상태 를 표현할 수 있다
– 대중음악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 다른 카메라를 Frame안에 포함한 Image를 사용 한다
– 자기반영적 Image를 자주 사용 한다
– 상호 Text적인 창조(intersexsual references)를 사용하는 것이 자주 보인다
다른 매스메디아인 영화나 인쇄물등의 영상을 차용하기도하며 음향효과나 대사같은 청각 적인 요소도 많이 활용 한다
– 8mm 비디오와 같이 조잡하고 거친 영상을 자주 사용 한다

= 뮤직 비디오만의 기법은 젊은 시청자들에게 만족감을 주지만 그동안 있었던 영상 Image의 흐름을 무시하고 어떤 틀이나 해석을 내릴 수 없게한다

바) Video 예술영상
첨단 기술과 장비를 동원하여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기법은 물론이고 다양한 영상언어의 표 현능력을 실험.
Video Artist들의 독창적인 생각으로 digital contents의 구성요소들을 조합하고 배열함.
Video 영상 Image는 computer와 기존의 영상예술을 접목해 모든 영상예술을 통합(사진, 영화, TV, 회화, 만화, 음악, 조각 등)하여 새로운 영역의 영상 Image로 만들어냄.

-> Video 영상예술은 형식이 아니라 표현과정에 있음.
Video 영상 예술은 앞에서 나타난 영상 Image를 지워버리는 창작과정, 그 자체가 작품(예술)이다
Video 영상 예술이 조각화된 개념으로 옮겨가면서 Narcissim(자기중심주의의 자기도취)로 바뀌게되는 환경을 맞음

Video 영상의 특질은 기존의 예술매체와 같이 “주제(사상)와 아름다움(미적 감각), 음악성(율동과 리듬), 그리고 움직임(역동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행위예술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어 대중들을 설득하는 통합매체의 속성을 지녔다”
* 현대 Video 영상의 방향
많은 Video 영상작가들은 다양하고 포괄적인 주제(지구의 평화와 전쟁, 환경, 종교, 사회, 질병 등)들을 설정하여 영상언어(Video적인 영상 Image)로 구성하여 보여준다. 이런 바탕에는 기술(hardware)과 작품(software), 그리고 contentsware가 서로 조화 있게 통합되어져 있다.
이미 computer network을 통해서 가상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연결지어 가상 공간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 일반 video 영상의 특성 (Video, DVD)
영화와 TV에서 보여주는 영상을 거부하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개인적으로 즐기려는 속성과 영상을 보존하려는 의미를 갖는다.
-> 영상 내용의 자작성이 강하다
-> 영상매개체의 보존성이 좋다
-> 영상매개체를 개인 소유화 한다
-> 개인이 영상의 선택성을 부여 받는다
-> 영상의 연속 재연성을 실현케 해 준다
-> 영상의 수용이 시간과 공간의 무제약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