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예술론 7

영화예술론 7 카메라 이동 The Moving Camera 1920년대 이전 감독들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프레임속에 고착시키려고만 했다. 한 샷에서 카메라를 이동시켜 동일 프레임 속의 움직이는 인물을 계속 따라잡는 감독은 거의 없었다. 사실상 편집 – 카메라가 샷 사이를 움직이는 것 – 이 더 빠르고 값싸고 덜 복잡하긴 하지만 , 커팅 또한 움직이는 카메라의 유연한 서정주의와 비교하면 돌연하고, 불연속적이며 […]

영화예술론 6

영화예술론 6 움직임 Movement 영화 movies, 활동사진 motion pictures , 움직이는 그림 moving pictures, 이 모든 말은 영화 예술에서 동작이 가장 중요함을 암시하고 있다. 시네마 Cinema라는 말도 무용과 관련이 있는 ‘움직임’을 뜻하는 희랍어에서 유래한다. 영상 그 자체 처럼 움직임은 화면속에 담겨있는 소재 전체와의 관련성 속에서 고려되는 것이다. 우리는 막연한 느낌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만을 생각하는 정도로 […]

영화예술론 5

영화 예술론 5 미장센 Mise en Scene 미장센은 원래 프랑스 연극용어로 ‘무대위에 배치한다’는 뜻이었다. 무대라는 주어진 공간안에서 연극 제작에 필요한 시각적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연기가 행해지는 영역은 무대를 둘러싸는 프로니시엄 아치 proscenium arch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회화의 프레임과 같으며, 연기의 범위는 때로는 좀더 유동적인 것으로서 객석까지 확장되는 경우도 있다. 화면구성 Mise en Scene은 항상 […]

영화예술론 4

6. 빛과 어둠 Light and Dark 영화에서 조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빛은 아주 예민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물을 강조하거나 초점을 맞추는 데 대단히 변별력이 뛰어난 스포트라이트 spotlight를 사용하여 감독은 촬영된 영상의 어떠한 영역으로도 관객의 눈을 끌고 들어갈 수 있다. 영화의 조명은 카메라나 피사체가 아주 조금만 움직여도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정태적일 수가 없다. 영화를 완성하는 데 […]

영화예술론 3

5. 앵글 The Angles 대상물을 찍는 앵글은 선택된 소재에 대한 감독의 논평이 될 수도 있다. 평범한 앵글은 화면의 감정 표현에 적합한 형식이며 극단적인 앵글은 영상의 핵심 의미를 매우 잘 재현할 수 있다. 앵글은 피사체가 촬영된 장소가 아니라 카메라가 놓인 장소에 의해 결정된다. 하이 앵글 high angle 에서 촬영된 인물의 사진은 로우 앵글 low angle에서 촬영된 […]

영화예술론 2

4. 샷 The Shots 영화의 다양한 샷은 화면의 틀 안에 담긴 선택된 소재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샷에 대한 정의는 상당히 가변적. 감독에 따라 느낌이 다르기 때문. 샷이 길면 길수록 그 명칭은 더욱 불명확해진다. 일반적으로 샷은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로만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렌즈에 의해 거리가 왜곡되기 때문이다. – 영화의 샷은 (1) 익스트림 롱 […]

영화 예술론 1

1. 영화의 등장 인간은 자신이 인간으로 존재한 순간부터 ‘보는 감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언어적 표현물을 끊임없이 만들고 발전시켜 왔다. 자신이 보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해 볼 수 있다는 믿음, 그리고 다른 사람이 보는 것을 나도 쉽게 볼 수 있게 됐다는 기쁨이 생기면서 사진이 대중의 폭발적 호응과 보급을 이룰 수 있었다. 사진은 단 한 […]

9. TV 방송영상

9. TV (방송)영상 1) TV영상 이해 텔레비전은 대중과 친화성에서 월등. 텔레비전 영상은 대중에게 가장 호소력이 강하고 접근성이 뛰어난 영상 미디어. 기술의 다양성과 고품질화, 통합화, 쌍방향성 겸비, 제작과 편성을 통한 전송 방식의 다원화 -> 최고의 영상 미디어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 마련. 가) 텔레비전 영상의 본디 특질 (1) 눈과 귀의 감각에 호소하는 감성적인 영상이다. (2) 구체적인 […]

8. 영화 영상

8. 영화 영상 Cinema, Movie, Film        프랑스의 Lumiere 형제가 필름을 연속적으로 움직여서 촬영과 현상, 영사를 동시에 사용할       최소한 장치를 만들고       1895 12월에 ‘Sortie des Usiness – 공장의 출구 또는 퇴근하는 여공들’ ( 자신들의 공장 직원           들을 찍은 것)을       ‘Cinematographe(‘움직이는 영상을 만든다’ 라는 뜻 )라는 이름으로 시사회를 가짐.         – 영화의 원년        1) 초기 영화 […]

5. 영상 메시지

5. 영상 Message 에서 – 모든 영상 Message는 하나의 Shot이 하나의 의미(Message)를 담는다. – 하나의 Frame이나 shot 또는 cut는 하나의 Image를 담게 되므로 영상 메시지는 고도로 선 택된 메시지만을 채택하여 가장 간결하게 조직하고, 아름답게 꾸며서 친절하게 제공하는 속성 을 보인다. – 고도로 선택된 메시지란 제작자 개인의 입장(주관성)보다는 수용자(관람자, 관객, 시청자, 청중, 독자, 기타)의 입장(객관적인 측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