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영상물은 그 종류가 세분화되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영상물의 구분 방법
– 이용되는 매체에 따라: 사진. 포스터. 텔레비전. 영화. 컴퓨터 그래픽
– 영상물의 외적 형태에 따라
. 정지된 영상물: 일반회화물, 사진, 기호(지표, 도상, 상징물), 만화, 포스터, 컴퓨터그래픽
. 동적인 영상물: TV, 영화, 광고물, 에니메이션, 가상현실
–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확대
1. 정보의 많은 부분이 영상이라는 형태를 띠고 전달되고있다
2. 정보를 영상으로 표현하면 많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된다,
3. 비언어적 영상정보가 언어적 정보의 속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의미 전달할 수 있다.
4.상식적인 상황을 뛰어넘게 해주는 마력을 지닌다.
5.많은 사람이 접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되게 한다.
6. 비언어적인 영상정보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7. 시각정보가 이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전달의 효율성 때문
– 시각 정보의 전달 효율성
가. 보편성: 여러계층의 수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나. 전달의 속도: 문자보다 더 짧은 시간에 내용을 이해시킬 수 있다.
다. 전달의 양: 상황과 내용을 전달하는 양이 문자 정보보다 많다.
* 영상과 언어: 영상은 상황의 언어이다.
영상학의 대상: 현대사회에서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모든 것
* 영상연구의 다양한 접근방식
1. 기호학적인 입장: 철학이나 미학적인 입장을 기초로 함. 영상이 만들어 내는 언어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함.
2. 사회과학적인 입장: 영상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기능, 영상이 주는 사회적 영향
3. 기술적, 기교적인 입장: 영상물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들의 기법을 연구 . 영상물의 구도에 따른 원근의 표현, 그 인물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등…
중세 스콜라철학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정의로서 지금까지 통용되는 정의
기호일반에 관한 학문: 기호학( Semiotik)
언어적인 기호에 관한 학문: 언어학(Linguistik)
2. 영상이란 무엇인가?
– 영상: 인간의 망막에 비추어진 상(象)
시각 세계 (Visual World), 시야 (Visual Field)
보는것 즉 시각적 이미지
” 실제의 정경(情景)을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닮은 꼴로 재현한 것으로서 영화 또는 텔레비
전의 화상으로 표현된것” “머리속에 그려내는 것의 모습과 광경”- 국문학적 의미
” 어떤 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화면으로 재생, 표시된 시각 정보” – 방송
전문 용어
우리나라 저작권법에서의 ‘영상 저작물’ – ” 연속적인 영상 (음의 수반 여부는 가리지 아니한
다)이 수반된 창작물로서 그 영상을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재생하여 볼 수 있거나 보
고 들을 수 있는것” ( 사진, 팩시밀리, 인쇄, 그래픽 등 까지)
엄밀한 의미에서 영상(映像)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에는 ‘음 – 음성 . 음향’이라는 요소가
배제된 ‘시각적 요소’만을 의미하지만 오늘날에는 ‘음의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
고 있다.
‘영상’ ‘화상’ – 혼용하지만
영상은 영화나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일시성 . 일과성의 것
화상은 사진, 팩시밀리, 인쇄등 하드 복사까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영상’의 영문 표현은 ‘image’ ‘picture’ ‘film’ ‘vedio’ ‘printing’등 다양한 단어들이 사용
* image는 우리말의 화상의 개념과 제일 유사.
그러나 ‘Image’는 상상에 바탕을 둔 느낌을 의미해 우리말로 번역한 ‘영상’과 구분해 사
용한다. 예를 들어 ‘Image와 영상’이라고 표기할 때 또는 ‘image’라고 영문을 그대로 사
용할 때는
는다.’image’는 상상에 바탕을 둔 느낌을, ‘영상’은 겉으로 드러난 형상을 의미한다.
film은 영화, picture는 정지된 화상, printing은 복제된 시각물의 개념이 강조
visual은 audio에 대칭되는 의미
영상이라는 개념은 Image에서 출발 (실제 영상 – real image, 가상 영상 – virtual imag
e) 했으나 Visual 이라는 개념과도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영상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video ( 인간의 눈으로 정상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
적인 이미지, 방송이나 영화에서의 시각적인 부분, 때로는 텔레비전과 동의어로)가 사용
되기도 한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비디오 테잎 또는 VTR, VCR의 대명사가 되다시피하여 개념상 혼
동의 여지는 있으나
VOD (Video on Demand – 주문 영상 방송)의 경우를 보더라도 ‘영상’ 개념과 가장 유사
하게 사용됨
* 영상은 개념에서 기계적이며, 매체적이고 지각 또는 감각적인 의미를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란 우리가 어떤 사물을 눈으로 보고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다. 이미지에는 외적인 이미지와 내적인 이미지 두 종류가 있다. 외적인 이미지는 눈에 보이는 이미지를 말하는 것이며, 내적 이미지는 보여지지 않는 내면의 심상을 의미하는 이미지다.
전자는 시각 작용을 창조하는 표상이며, 후자는 심적 작용이 만들어내는 상상이라 할 수 있다.( 김기배, <디지털 영상 미디어>, 한명, 2001, pp. 36)
영상 이미지란 새롭게 만들어내는 재구조화된 시각이다. 이미지는 사물이나 현상을 구체화하고 그 이미지를 영속시킬 수 있다. 어떤 사물이나 사람 또는 사건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는것이 바로 영상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영상은 하나의 기록이고 역사다. 영상을 보는 것은 현실을 보는 것이고 그 현실은 역사가 되어 기록된다. 우리는 영상을 통해 무언의 의미를 전달하는 시대에 살고 있고 오히려 언어적 요소가 불필요한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영상은 우리의 삶 속에 자리하고 있는 사회적 산물이다.
* “영상이나 화면을 본다” -> 영화, 사진, TV 등 전체를 가리키는 말
영상을 전파하는 대중 매체를 포함하여 이러한 매체에 이용되는 영상 기법등을 주로 말한
다.
– 영상 미디어
기계적 기술을 이용해 이미지를 모방하고, 재현하고, 창조하여 그 구성물을 편집이나 편성해
불특정 대중에게 전달하는 직접적인 물적 체계를 말한다. (김택환, <영상 미디어 론> , 커뮤
니케이션북스, 1997, 11쪽 )
* 영상은 미디어 매체들을 총칭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 영상의 특징 ( 오명환,< 텔레비전 영상론>, 나남, 1988, pp. 263-266)
(1) 기계에 의해 탄생된다. (2) 카메라의 눈에 의해 결정된다 (3) 틀 (Frame)에 의해 메시지
화 된다 (4) 움직임에 의해 가치화된다. (5) 재생 단계에서 완성된다 (6) 빛에 의해 생명
을 갖는다 (7) 복제가 가능하다 (8) 판매.보급.저작권을 갖고 배급.유통될 수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의 제작과 디지털.광통신을 이용한 영상 소비에는 맞지 않는 항목도
있으나 현상학적 측면의 분석으로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 영상은 또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발전된 하나의 미디움(medium – 매개체)으로서 언어와 행동.몸짓, 서적과 신문.잡지, 전화와 라디오 등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거쳐 발전되어 왔으며 오늘날 영상은 이러한 여러가지 커뮤니케이션 수단중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황현탁,<한국 영상 산업론> 나남, 1999, pp. 29)
* 영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재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수단이며 동시에 우리의 시각으로 감지되기 어려운 부분, 심지어 우리의 상상의 세계까지도 시각화할 수 있는 뛰어난 표현 수단이다. 또한 영상 정보는 활자.음성에 비해 수용자의 인지.수용과정이 비교적 쉽고 짧으며, 관여도가 높아 엄청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현대는 영상 매체 시대로 우리의 삶과 문화에서 영상 정보의 위치가 현재의 부차적 혹은 보조적 위치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시대이다. ( “영상진흥법 제정에 따른 기초 연구 조사”, 서강대 언론 문화 연구소, 1994, pp. 11-12.)
– 영상학 연구와 방향의 기준
1) 영상이 제작되고 표현되는 제작 과정의 경우
2) 영상의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입장의 경우
3) 영상을 사회 과학적인 입장에서 살피는 경우
4) 영상을 기호학적인 입장에서 파악하는 경우
+ 영상이 제작되고 표현되는 제작 과정의 경우
영상을 형상화시키기 위해 기획하고 창작하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그것을 구체화하는 일련
의 작업을 살피는 방법
+ 영상의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입장의 경우
영상은 촬영 장비와 편집기, 컴퓨터 등을 동원하여 제작 운영하는 장비와 기술 (편집) 예술이
다. 따라서 장비에 대한 지식과 제작 기술을 알아야 좋은 영상 작품을 만들 수 있다. 장비의 기
술을 이용한 영상 구도나 원근법적인 표현, 선과 색채의 활용, 다양한 편집의 효과등을 배워야
한다.
+ 영상을 사회 과학적인 입장에서 살피는 경우
영상 (Image)이 갖는 ‘사회적인 기능과 영향’을 연구하는 작업.
영상이 사회 (인간)에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그 내용과 형태, 이용되는 가치가 어떤 영향을 주
는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영상학의 방향
+ 영상을 기호학적인 입장에서 파악하는 경우
기호학은 의사를 교환하는 행위로 나타나는 언어, 기호, 그림, 몸짓, 태도, 동작, 그밖의 것들
을 체계적으로 취급하는 학문이다. 영상을 언어체계로 살피는 것으로 영상 작품이 수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정서를 얻는가 등등을 밝히는작업
– 영상 연구의 필요성
1) 영상은 문자보다 의사 소통을 훨씬 쉽게 해결해 준다. <- 영상이 시각 (Visual)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
+ 과거에는 영상 분야를 단지 인식( Cognition)하고 이해(Understanding)하는 수준과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언어적인 해석을 했다.
2) 현대사회는 영상 문화의 사회 -> 많은 사람들이 시각화된 사물을 통해서 외부세계 (정보)를
주고 받으며 삶의 휴식을 취한다.
현대인들은 영상 분야와 함께 생활하고 영상 매체의 습성에 깊숙히 젖어있어서 영상매체를
통해서 생활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개척하는 습성을 보임.
* 영상 (Image) 이라고 하면 아직도 개념이나 미학적인 구도, 예술적 측면등을 놓고 설명할 때
사진 (회화나 조각)과 영화 영상을 이야기 한다.
3) 최근에는 ‘영상’이라는 말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매체를 형성하고 있는 현상들의 낱
낱의 내용으로 지각이나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상품은 물론이고 산업활동에 쓰이는 형상(Sh
ape)까지도 포함하는 넓은 뜻으로 이해되고 사용되는 실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