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자막의 연구

표차례 = ⅴ
국문요약 = ⅵ
제1장 서론 = 1
1.1 문제의 제기 = 1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문제 = 5
1.4 연구방법 = 9
1.5 논문의 구성 = 9
제2장 이론적 논의 = 11
2.1. 방송 자막에 관한 연구 = 11
2.1.1 방송 자막의 기능 = 12
2.1.1.1 방송 자막의 유형별 분류 = 12
2.1.1.2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방송자막의 기능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입장 = 15
2.1.2 시각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 = 16
2.1.2.1 영상 신호에 관한 연구 = 17
2.1.2.2 시각적 주목(visual attention)에 관한 연구 = 18
2.1.3 TV 오락 프로그램에서의 자막의 활용 = 19
2.2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 23
2.2.1 ELM 연구의 실험변인 = 25
2.2.1.1 관여도 = 25
2.2.1.2 인지욕구 = 26
2.2.1.3 사전지식 = 28
2.2.1.4 메시지 요인 = 29
2.2.1.5 정보원(광고모델) = 32
2.2.1.6 배경음악 = 33
2.2.1.7 시각적 요소 = 34
2.2.2 ELM 연구의 종속변인 = 35
2.2.2.1 인지 = 35
2.2.2.2 태도 = 37
2.3 방송자막에 대한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 = 38
2.3.1 방송자막과 시청자의 인지적 반응(Cognitive Responses) = 38
2.3.2 방송자막의 인지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적 단서 = 39
2.3.2.1 방송자막의 메시지 요인 = 39
2.3.2.2 정보원의 호감도(출연자의 호감도) = 40
2.3.2.3 시각적 주목(시각적 현저성) = 41
2.3.2.4 배경음악 = 41
2.3.3 방송자막의 정보처리를 중재하는 변인들 = 41
2.3.3.1 관여도(Involvement) = 42
2.3.3.2 인지욕구 = 43
2.3.3.3 주의분산 = 44
2.3.3.4 사전지식 = 44
제3장 연구방법 = 48
3.1 실험 설계 방안 = 48
3.2 중요변인의 조작적 정의 = 50
3.2.1 인지욕구 = 50
3.2.2 TV 자막 = 51
3.2.3 인지반응 = 51
3.2.4 호의도 = 52
3.2.5 재 시청 의도 = 52
3.3 실험 대상자 선정과 배당 = 53
3.4 실험 처치물의 선정과 준비 = 54
3.5 실험의 진행 = 57
3.6 측정항목 및 척도의 구성 = 59
3.6.1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 59
3.6.2 인지욕구 = 60
3.6.3 기억 정도 = 61
3.6.4 호의도 = 62
3.6.5 재 시청 의도 = 63
3.7 자료분석방법 = 63
제4장 연구결과 및 분석 = 65
4.1 척도의 신뢰도 검증 = 65
4.2 연구문제 분석결과 = 66
4.2.1 연구문제 1)에 대한 검증 = 66
4.2.2 연구문제 2)에 대한 검증 = 70
4.2.3 연구문제 3)에 대한 검증 = 72
4.2.4 연구문제 4)에 대한 검증 = 74
4.2.5 연구문제 5)에 대한 검증 = 76
제5장 결론 = 79
5.1 요약 및 결론 = 79
5.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86
참고문헌 = 89
부록 = 99
ABSTRACT = 106

본 연구는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방송자막이 시청자의 인지반응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방송자막의 기능은 무엇이며, 그 활용이 오락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오락 프로그램에서 방송자막의 활용이 현저하게 증가함에 따라 보조적 수단에 머무르던 자막이 이제는 오락을 위한 주요한 내용 표현 방식으로 대체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자막의 활용이 과연 제작자의 의도를 시청자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창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방송자막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어떻게 하면 직접적인 수용자인 시청자로 하여금 프로그램의 내용을 좀더 오랫동안 기억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시청자에게 프로그램을 반복하여 시청하게 할 수 있을 것인가, 시청자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얻을 것인가 등 시청자의 인지반응과 태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연구문제 1. 인지욕구에 따라 시청자의 평소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기억 정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호의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4.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재 시청 의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5. 오락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자막에 대한 평가는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etty와 Cacioppo(1981)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을 이론적 바탕으로 논의하고, 기존 연구를 기초로 실증적 연구에 필요한 척도를 구성하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실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총 실험 대상자는 131명이었다.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설득의 경로를 선정하는 원인인 개인적 관련성으로서 인지욕구와, 주변적 단서인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조사집단을 설정하였다. 즉 인지욕구에 따라 방송자막이 있는 프로그램과 없는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실험 처치하는 2×2 요인설계를 따라 ‘인지욕구가 높으면서 방송자막이 있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낮으면서 방송자막이 있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높으면서 방송자막이 없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낮으면서 방송자막이 없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의 4개 조사집단을 설정하여 동일 오락 프로그램 1회분을 시청하도록 한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반응과 태도를 측정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각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소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정도는 인지 욕구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단순한 메시지, 정보원의 매력성과 신뢰성, 배경 음악이나 자막 등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제시하는 주변적 요소가 중점적으로 제시되는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중심 경로를 통하여 메시지 주장을 이해하는 사람보다는 주변 경로를 통해 의도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사람일수록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었다.
한편 인지 욕구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이나 구성, 출연자, 배경음악이나 자막의 3가지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은 출연자 요소가,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은 내용이나 구성·배경음악이나 자막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여 배경음악이나 자막이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결론과는 달리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더 이상 주변적 단서로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삽입 유무에 따른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 정도에 있어서는 인지욕구 고저(高低)와 방송자막의 유무(有無)에서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이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보다 프로그램 내용을 더 많이 기억했다. 이는 개인적 차이로 인지욕구를 상정하여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은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고, 강한 주장과 약한 주장의 차이를 더 잘 식별하며, 주장의 질에 영향을 더 받을 뿐 아니라, 메시지 평가가 설득 후 형성되는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 Petty와 Cacioppo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이로써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은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고,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은 인지적 절약자로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지 않는 등 인지욕구라는 개인의 내재적 성향이 시청자의 프로그램 기억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방송자막이 있는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이 자막이 없는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보다 더 많이 기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차원에서 중요한 의의를 나타냈다.
셋째,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른 시청자의 호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호의도는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인지욕구의 높고 낮음에 따른 호의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막의 유무가 시청자의 정서적 차원에서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방송자막이 있는 오락 프로그램은 방송자막이 없는 경우보다 시청자에게 정서적 차원에서의 재미와 웃음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오락적 요소’를 중시하는 장르의 특성상 자막을 활용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른 시청자의 재 시청 의도를 알아본 문제에 있어서 실험대상자의 재 시청 의도는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과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의 시청자는 오락 프로그램의 재 시청 의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자막의 유무가 시청자의 행동적 차원에서의 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장래의 오락 프로그램 시청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들은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방송 자막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리는가를 알아본 결과, 인지욕구 고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방송자막 유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인지욕구가 높은 실험 대상자는 인지욕구가 낮은 실험 대상자보다 방송 자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방송 자막은 오락 프로그램에 재미를 더해주고,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필수적이며, 프로그램 이해에 도움이 된다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서 방송자막은 시청자의 회상, 호의도, 재 시청 의도 등 인지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순한 구어적 정보만을 나열한 프로그램보다 자막이나 음향효과 등과 결합한 프로그램에 노출된 시청자의 잠재의식은 프로그램의 메시지와 더불어 감각적 정보까지도 인지하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과 주목, 정서적 차원과 행동적 차원의 태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이다.
자막의 활용은 우리나라 오락 프로그램에서 이미 정착해버렸고, 특히 이러한 자막의 활용이 뛰어난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눈을 사로잡고 그 오락, 재미 요소를 한층 더해주게 되었다. 따라서 오락 프로그램 제작자 입장에서는 방송자막을 사용하는 것이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나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려볼 수 있다. 한편 시청자 입장에서도 방송자막이 프로그램을 재미있게 시청할 수 있게끔 해주기 때문에 방송자막이 사용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하지만 방송자막이 너무 자주 등장한다고 평가한 점에서는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은 방송자막은 시청자에게 오히려 무의미하고 귀찮은 요소가 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function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is and if its utiliz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ntertainment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of the audience of the subtitles expressed in TV entertainment program. Recently, when we make allowances for the circumstances that the subtitles as only a supplementary method were replaced to the expression way of important contents for the entertainment as the utilization of broadcasting subtitles has been remarkably increased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it is necessary for us to consider if the utilization of these subtitles indeed could be the window to deliver as it is to the audiences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The most important issue in relation to the broadcasting subtitles is to evaluate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like the followings: how it can make the audiences who are the direct receivers to remember the program contents for a longer time, how it can make the audiences to see and hear the program repeatedly, how it can make the program to get friendly response, etc..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suggested in this thesis are the following five things: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concern level of the audiences about the usual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Research questions 2.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emory level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3.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4.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seeing and re-hear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ab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For solving these research projects, this study used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centering around the university students group with 131 persons of total experimental subjects, by discuss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tty and Cacioppo(1981) as a theoretical basis and composing the criterion necessary for the positive research with the basis of the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group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as a personal relation that is a cause selecting the channel of persuasion i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as peripheral cues. That is,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groups according to the 2×2 factor design experimenting and disposing by dividing into th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and th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After performing the above, this study made those groups to see and hear the same entertainment program for one time and estimated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on the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each research project selected in this study were adjus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attentive difference in the question what the difference of the concern level about the usual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is. That is, as asserted in the ELM model, it verifies that the person who has a strong need for cognition is interested in the content of message through a central route and the person who has a weak need for cognition is interested in the peripheral factor through peripheral route. In the other hand, in case of making questions divided into three like composition, performers,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for searching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it has a result that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answered the performer is important and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answered the contents or composition, or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are important. It suggests that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are not acting as peripheral cues any more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differently from the resolution of the exist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Second, the memory level about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of the audience and existence of inserting broadcasting subtitles was verified to hav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at is, it means that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memorized the content of the program more than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It is the same research result as the one of Petty and Cacioppo estimating the need for cognition with personal differences that the person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ries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discerns the difference between a strong assertion and a weak assertion better, is mo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assertion and the evaluation of message has more effect on the attitude formed after the persuasion. Therefore, the immanent propensity as the person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ries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and the person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who is a cognitive miser does not try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has an effect on the level of memory about the program of the audience. It suggested the important meaning for the effectiveness that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program with broadcasting subtitles memorized more tha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program without broadcasting subtitles.
Thir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it was attentively expressed in the statistical sid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about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r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Thi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 at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e audience. That is, as the entertainment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makes the audience to feel more funs and laughs at the emotional dimension,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better to utilize the subtitles as the specialty of genre valuing much of entertainment factor.
Fourth,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the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subject of an experime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entertainment program by the audiences of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and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i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 at the action dimension of the audience. That is, it can be resolved that it is better to use the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Finally,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audience on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it showed the attentiv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however,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the broadcasting subtitles. It is noteworthy here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evaluated the broadcasting subtitles more positively than the on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at is, they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raise the interest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nd are necessary for the entertainment program and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program.
Synthesizing all discussions in the above,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like the recollection, favor level,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The sub-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that was disclosed to the program combining subtitles or sound-effect rather than the program enumerated with simple colloquial form of language information is influenced by the attitudes of the memory and attention regarding the program, and the emotional dimension and action dimension, etc. by recognizing the sensu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message of the program.
The utilization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was already settled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of our country, and the program with an excellent utilization of these subtitles has fascinated with the audience and increased the entertainment and interesting factor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an not to use them at the position of the producer of program. In the other hand,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broadcasting subtitles at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as the broadcasting subtitles make the program to be seen and heard more pleasantly. However, it should be regarded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appropriately used may be rather meaningless and troublesome factor in the sense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are appeared often.